동영상 숏폼(Short-form)과 롱폼(Long-form)의 차이점

ENVYY
그림은 반드시 대체택스트(알트테그) 반영하여 작성 (이 글자는 삭제)

첫번째 사진이 썸네일 지정됨

동영상 숏폼(Short-form)과 롱폼(Long-form)의 차이점

동영상 숏폼(Short-form)과 롱폼(Long-form)의 차이점

개요

글로벌 동영상 플랫폼은 Youtube, Dailymotion, Vimeo 등 다양한 서비스가 있다. 
일반적으로 1분 미만의 영상을 공유하는 숏폼(Short-Form)과 1분 이상의 롱폼(Long-Form)으로 구분된다.

숏폼은 보통 평균 15초에서 최대 10분을 넘기지 않는 짧은 형태의 영상 콘텐츠를 의미하며, 롱폼은 그 반대의 긴 형태의 영상 콘텐츠를 의미한다. 특히, 2010년대 후반들어 생겨나 2020년대 들어 크게 유행하고 있다. 길어야 10분 이내이다. 일부 숏폼 플랫폼은 영상 길이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빨리감기를 하거나 빨리 말하는 등의 방법이 동반되기도 한다.

숏폼 콘텐츠는 주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소비되며, MZ세대를 중심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는 콘텐츠 소비 패턴의 변화와도 연관이 있으며, 빠른 호흡과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것이 특징이다.  바이트댄스의 틱톡, 구글의 쇼츠, 메타의 릴스 등 1분 미만의 영상을 공유하는 시스템인 숏폼(Short-Form) 등이 있다.

반면 롱폼 콘텐츠는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문성과 신뢰성을 강조하는 데 도움된다. 또한 시간이 지나도 유효성을 잃지 않고 계속 사용될 수 있는 에버그린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적합하다. 대표적인 롱폼 플랫폼으로는 넷플릭스, 왓챠, 티빙 등의 OTT 서비스가 있다.

두 가지 형태의 콘텐츠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는 대상 독자, 메시지, 목표, 콘텐츠 분배 채널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며, 각 플랫폼의 특성과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적절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 출처

Tags